화성시의회 김종복 의원은 12일 본회의 5분 발언에서 2026년도 구청 체제 전환을 앞두고 이번 회기 중 심의 예정인 행정기구 개편안이 여성정책의 방향성을 흔들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김 의원은 “현재의 여성다문화과를 ‘저출생대응과’로 명칭 변경하는 것은 화성시가 그간 추진해 온 여성정책의 근본적인 지향점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성다문화과가 수행해 온 여성정책은 사회참여 확대, 성별 격차 해소, 일자리 확대 등을 목표로 점차 발전해왔지만, 명칭 변경으로 여성정책의 목표가 출산 정책의 수단으로 취급되거나 가임기 여성 중심의 지원 정책으로 축소될 수 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저출산대응과의 정책 우선순위가 출산율 중심으로 재편된다면 여성 권익 증진을 위한 각종 정책은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며 “여성다문화과 기능 조정은 시민적 합의와 공론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며, 일방적인 행정적 관점이 아니라 여성 인권과 성평등 관점에서 방향성을 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023년 여성친화도시로 재지정된 화성특례시는 여성이 존중받고 함께 성장하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며 “순간의 잘못된 판단으로 긴 시간 쌓아온 여성 인권 증진의 역사와 노력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미래로 나아가는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여성이 배제되지 않도록 함께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