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4명, 문화 즐기러 서울 간다"
김도훈 의원 "경기도 문화예산 전국 최하위 수준.. 도내 문화시설 경쟁력 저하"
경기도의회 김도훈 의원은 7일 열린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민의 문화 향유 격차와 경기문화재단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했다.
김 의원은 ‘경기도민 문화예술 향유 실태조사’를 인용해 “도민 10명 중 4명, 즉 42%가 문화예술을 즐기기 위해 서울을 찾고 있다”며 “이는 단순한 선호 문제가 아니라, 도내 문화공간과 프로그램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지적했다.
조사에서 도민들이 서울을 찾는 이유로는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47.1%)과 ‘편의시설 미흡’(24.7%)이 꼽혔으며,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층은 54%에 달하지만 실제 참여율은 36.1%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경기도의 문화체육관광 예산 비율이 타 시·도에 비해 현저히 낮다”며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문화예산 확충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경기문화재단의 예산 구조 편중 문제도 지적했다. 재단 예산 중 경기도 위탁사업 비중이 2025년 기준 60%에 달해 자율사업이 위축됐다는 것이다. 2024년 기준 도 하달 위탁사업은 46건, 1020억 원으로, 2000년(8건, 52억 원) 대비 약 20배 증가했다.
김 의원은 “문화정책이 창의적 개발이 아닌 하달사업 중심으로 변질되고 있다”며 “재단의 자율성과 본사업 회복을 위한 재정 및 운영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문화시설과 콘텐츠의 경쟁력 저하 문제도 언급했다. 김 의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박물관의 2025년 예산은 43억8000만 원으로 서울역사박물관(219억6000만 원)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며, 경기도미술관 예산 역시 39억 원으로 서울(106억 원), 부산(218억 원), 울산(69억 원), 전남(78억 원), 제주(66억 원)에 비해 크게 낮았다.
김 의원은 “도민의 문화향유 욕구는 전국 최고 수준이지만,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와 예산은 최하위권”이라며 “이제는 예산과 정책의 우선순위를 과감히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