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광고비로 언론 주물러 보겠다는 이재정 교육정부의 ‘민낯’

출입 언론사를 상대로 매년 수십억의 행정 홍보비를 집행하는 경기도교육청은 과연 어떠한 언론사를 상대로 홍보비를 지출할까?

통상 정책이나 행정정보를 홍보해야 하는 관광서는 홍보비를 지출할 때 매체의 영향력, 기사량, 인터넷신문의 경우 포털사이트 노출여부, 매체 출입경력, 언론사의 수준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한다.

경기도교육청의 경우 이재정 교육감 취임 후 홍보비를 지출할 때 매체 선정에 어떠한 기준을 갖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행정홍보를 할 수 없는 매체에 대한 기준은 확실해 보였다.

소위 ‘지적질’을 하는 매체에 대해서는 행정 광고를 게제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최근 경기도교육청이 출입 언론사들을 대상으로 행정광고를 집행한다는 소식이 들렸다.

미디어와이는 이번에도 대상에서 누락됐다.

이제 출입 1~2년차 인터넷신문에도 광고가 실리는데 미디어와이는 빠진 것이다. 이재정 교육정부 들어 이런 일이 잦았다.

미디어와이는 출입 인터넷언론 중에서도 연차가 꽤 오래됐다. 독자에게 제공하는 교육청의 정책이나 정보기사도 출입기자가 매일 게제하고 있다.

금액으로 따지면야 얼마 되지 않지만 은근히 자존심과도 연결되는 부분이어서 망설이다 담당자에게 전화를 했다. 도대체 매체 선정 기준이 뭐냐고 물었다.     

황당한 대답이 돌아왔다.

여러 이야기가 오갔지만 요약하면 ‘미디어와이를 모니터링 한 결과, 교육청 정책을 지적하는 기사를 실어 광고를 안 한다’는 대답이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얼마 전 이재정 교육감의 핵심정책인 마을교육공동체 사업과 꿈의학교 사업에 대해 준비부실을 지적하는 기사를 쓴 적이 있다.

또 진보를 표방하는 이재정 교육감에 대해 오히려 도내 젊은 층의 정책지지도가 상당히 부정적이라는 흥미로운 여론조사 결과를 내보낸 적이 있다.

많이 쓴 것도 아니다. 이 교육감 취임 후 교육청이 불편했을 기사는 단 4꼭지에 불과하다. 이것이 문제가 된 것이다.

짧은 순간에도 여러 가지 생각이 복잡했다. 처음에는 황당하면서도 실소가 나왔다.

다음에는 ‘자기들 돈도 아니고 세금 갖고 교육감 선거 운동하는 거야?’ 화가 났다. 나중에는 ‘도교육청 수준이 왜 이렇게 됐어?’ 걱정이 됐다.

담당자는 그러면서 “다음에(생각해보겠다)...잘 좀 부탁한다”고 했다.

앞으로 지적하거나 비난하지 말고 교육청 기사를 잘 써주면 광고를 주겠다는 것이다.

좀 더 생각해보면 그냥 입 다물고 보내주는 보도자료만 받아쓰면 돈을 주겠다는 말로도 해석할 수 있다.

물론 홍보를 담당하는 입장에서 언론이 정책을 비난하는 기사나 기관장에 대해 불편한 기사를 쓰면 못마땅한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도 언론에 대해 저리도 노골적으로 ‘앞으로 잘하면 광고 주겠다’ 소리를 대 놓고 하는 경우는 처음 봤다.

어쨌든 답을 들었으니 결정을 해야 했다. 교육청 광고를 포기하거나, 입을 다물거나. 물론 결정은 정해져 있다.

광고 하나 받자고 가장 중요한 출입처를 대상으로 그러한 대가를 치를 수는 없다.

마음 같아서는 ‘광고 줘도 안 받아!’라고 소리를 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다. 지난해 미디어와이가 교육청으로부터 받은 광고는 두번에 걸쳐 100만원씩 총 200만원이다.

그러나 굳이 의뢰 광고를 거부하는 것도 밖으로 알려지면 신문사 논조의 공정성을 의심받을 수 있는 문제라 말은 꺼내지 않았다. 광고문제로 더 왈가왈부 하는 것도 한심해 보였다.  

이재정 교육정부는 교육감 취임 직후부터 측근비리로 도덕성 논란에 휘말렸다. 게다가 진보 교육감 입장에서는 젊은 층의 불신이 높은 것으로 드러나 언론에 더 민감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기자입장에서는 광고를 무기로 언론을 대놓고 조종하겠다는 교육청의 꼼수가 너무나 불쾌하다.

눈치 보지 않고 쓴소리 단소리 맘껏 낼 수 있었던 김상곤 전 교육정부 시절과 비교해 보면 그 수준이 차이가 나도 너무 난다.

이재정 교육감은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을까?

모르고 있다면야 지금 알려드리지만, 지금 상황이 현 교육정부의 언론정책이라면 ‘쓴 소리도 귀히 여겨 달라’고 말씀드린다.